본문 바로가기
진단과 치료

다이빙하다 전신마비, 이게 무슨 일이야

by mkrosc 2022. 7. 21.
반응형

지난번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익수사고 관련 내용의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다이빙하다 자주 발생되는 심각한 손상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는 종종 장소를 불문하고 다이빙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이빙은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야 하기때문에 수심이 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수심을 고려하지 않고 실내,외 수영장에서, 바다에서, 계곡에서 다이빙을 즐깁니다. 수심을 고려하지 않은 곳에서의 다이빙으로 평생 누워서 지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이빙으로 인한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SCI)을 주제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다이빙 Head first

목뼈(Cervix vertebra)의 해부학적 구조

먼저,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목뼈(cervix vertebra, C-spine)의 구조와 척수(spinal cord)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목뼈(C-spine)는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뼈의 첫 번째와 두 번째는 독특한 구조로 생겼습니다. 첫 번째 목뼈는 머리뼈를 받히는 고리형의 구조이며, 두 번째 목뼈는 돌기가 있는 구조로 첫 번째 고리형의 목뼈에 들어가 있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세 번째 목뼈 부터 일곱 번째 목뼈의 구조는 동일합니다.

목뼈의 구조

척수(spinal cord)는 목뼈(C-spine)부터 꼬리뼈(coccyx) 까지 연결된 척추들 속의 척주관(vertebra column)에 위치하며, 머리 밑으로는 신체 모든 부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척수는 척수신경(spinal nerves)을 통해 머리 아래쪽 몸의 운동과 감각을 지배하고, 뇌와 몸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며, 뜨거운 물체를 만졌을때 반사적으로 손을 물체에서 떼는 등의 반사작용을 담당하는 기능을 합니다.

좌측사진 빨간색 부분, 우측사진 빨간색 화살표가 척수입니다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기전

이제부터는 어떻게 척수손상(SCI)이 발생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종종 수영을 잘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머리부터 입수하는 다이빙을 하게됩니다. 멋진 입수 자세입니다. 하지만 수심이 얕은 곳에서 head first 입수 자세는 전혀 멋지지 않습니다. 자기 자신을 위험에 빠트리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수심이 얕은 곳에서 머리 먼저 입수를 하게 되면, 수심이 얕기 때문에, 입수하는 힘은 바닥에 머리를 부딪히는 순간 그대로 목으로 전달됩니다. 이때 신체는 자꾸 내려가려고 하는 관성에 의해 바닥에 머리를 계속 머리를 밀면서 발생하는 부하(축부하, axial loading)는 목뼈를 압박하게 되고 인대가 손상되고 목뼈의 지지력은 약화되면서 골절이 발생하고 골절된 목뼈가 척수를 누르거나, 척수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앞서 알려드린 대로 척수는 머리 아래쪽 몸의 운동과 감각을 지배하는 기능을 잃게 되어 전신마비가 나타납니다. 호흡근을 조절하는 부위에 척수손상이 발생하게되면 숨을 쉬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수는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 손상을 입으면 손상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잘못된 단 한 번의 선택이 평생을 힘들게 할 수 있습니다.

척수손상 발생 사례

다이빙 외에도 여름철 물놀이 도중 척수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다에서 튜브 원형에 엉덩이를 넣고 튜브 위에 올라타서 물놀이를 즐기다가 파도에 의해 튜브가 뒤집히며 바닥으로 떨어져 척수손상이 발생한 사례와 한 친구를 물에 빠트리기 위해 여러명의 친구들이 양쪽 팔다리를 나눠잡고 던지려던 중 잡고 있던 한 쪽 팔을 놓쳐 상체가 바닥으로 떨어져 발생한 척수손상의 사례가 있었습니다. 다이빙과 뒤집힌 튜브, 그리고 친구를 물에 빠트리려고 했던 장난, 이 모두는 얕은 수심에서 일어난 사례들이며, 깊은 수심이라고 해도 절대 해서는 안되는 장난이며 물놀이 방법 입니다.

절대 해서는 안될 물놀이 방법

여러분, 우리는 다이빙 선수가 아닙니다. 올바른 튜브 사용법으로 물놀이를 즐기고, 아무리 친한 친구라 할지라도 위험천만한 장난은 시작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사소한 장난과 나는 괜찮겠지 라는 생각은 버리고, 안전한 물놀이 방법을 선택해서 즐겁고 건강한 물놀이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