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산증의 원인
대사성 산증은 일차적으로 혈장 중탄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과정으로 산의 획득이나 중탄산의 소실로 발생합니다. 산의 획득은 내인성 수소 이온의 생산증가, 섭취된 독소의 대사과정, 수소 이온의 신장배설 저하와 같은 질환의 결과로 일어납니다. 중탄산의 소실은 근위(2형) 신장 세뇨관 산증과 설사 등과 같은 질환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전형적으로 대사성 산증은 음이온차의 증가 유무에 의해 분류 되는데, 음이온차의 증가에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L-젖산 산증, D-젖산 산증, 알코올성 케톤산증, 요독성 산증(진행된 신부전), 살리실산 중독, 에틸렌 글리콜 중독, 메탄올 중독, Paraldehyde 중독이 있고, 음이온차 정상에는 경증이나 중등도의 신부전, 설사, 1형(원위) 신장 세뇨관 산증, 2형(근위) 신장 세뇨관..
2022.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