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국민이 알아야할 응급처치 중 하나인 심폐소생술에도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학교 등 교육기관이나 군대, 민방위 등에서 누구나 한번쯤은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배우신 적이 있을껍니다. 일반적으로 배우는 심폐소생술 이외에도 전문적이고 심화된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을 찾고 해당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국민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문적이고 심화된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
먼저, 심폐소생술은 일시적으로 심폐기능부전 상태에 빠진 생명을 살리는 기초적인 응급처치로 모든 의료인과 다수의 국민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응급처치 입니다. 이미 외국에서는 표준화된 심폐소생술을 널리 보급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급사환자의 생명을 구해 개인적으로는 죽음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하고, 국가, 사회적으로는 급사에 의한 인적,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분야의 의료기술은 첨단을 달리고 있는 현실에 반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과 보급은 의료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심정지 또는 호흡정지환자는 긴급한 응급치료를 요하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심폐소생술을 연구하는 단체에서 표준화된 심폐소생술 지침을 마련하여 발표함으로써, 일반인 및 의료인이 심폐소생술을 하는데 있어서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심폐소생술의 공동지침과 교육 및 보급을 관장하는 통합된 기구가 없기 때문에 우리 실정에 맞는 심폐소생술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마다 외국의 심폐소생술 지침을 각각의 실정에 따라 달리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심정지 환자가 생존하려면,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처치 뿐만 아니라 응급의료 체계등 사회, 행정적인 측면, 심폐소생술의 보급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회요소가 완비 되어 있어야 합니다. 한편, 대한순환기학회와 대한응급의학회에서는 우리나라의 심폐소생술 실정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하고 심폐소생술에 관한 표준화를 눈의하기 위하여 공동추진위원회(joint steering committee)를 결성한 바 있습니다. 위원회에서는 논의를 거쳐 우리나라에 맞는 심폐소생술에 관한 연구와 지침 제정, 교육 및 보급에 관한 전담기구인 대한심폐소생협회를 2002년 11월 29일에 창립하고, 2004년 11월 6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사단법인 설립인가를 받아 정식으로 발족하였습니다. 대한심폐소생협회는 우리나라 심폐소생술 지침 제정, 심폐소생술에 대한 연구, 심폐소생술 지침의 전파 및 교육, 심폐소생술에 관한 국제단체와 교류를 담당하는 기구로서, 의료인뿐 아니라 유관 단체의 비의료인도 참여하는 multi-disciplinary organization이 될 것입니다.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
본격적으로 오늘의 메인 주제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습니다. 교육프로그램은 대한심폐소생협회(KACPR) 교육 과정과 미국심장협회(AHA) 교육 과정으로 나눌수 있으며, 대한심폐소생협회 교육 과정으로는 한국기본소생술이라고 불리는 'KBLS(Korea Basic Life Suppor)'와 한국전문소생술 'KALS(Korea Advanced Life Support)'가 있고 미국심장협회 교육과정으로는 기본인명소생술 'BLS(Basic Life Support)'와 전문심장소생술 'ACLS(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가 있습니다. 위 네 가지 교육과정은 일반인이 아닌 보건의료인(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의료인 및 보건계열 종사자와 보건계열 대학생)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일반인 교육과정으로는 일반인 심폐소생술 기초, 심화, 강사 과정으로 개설되어있습니다. 보건의료인 대상 네 가지 교육 과정에는 각각 Provider(제공자) 와 Instructor(강사) 과정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미국형과 한국형 기본인명소생술
AHA BLS Provider(미국심장협회 기본소생술 제공자) 과정은 병원단계와 병원전 단계 중 발견한 심정지 환자 및 기도폐쇄와 같은 심정지 의심 상황의 초기 처치 및 고품질의 가슴압박, 자동심장충격기 작동에 필요한 지식을 이해하고, 연관 술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1일(4시간 30분) 코스로, 미국심장협회가 프로그램 개발, 질관리 및 인증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입니다. KACPR KBLS Provdier(대한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제공자) 과정은 보건의료인들에게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술기의 습득을 위해 1일 코스의 교육 프로그램 입니다. 미국형와 한국형 모두 84점 이상의 필기시험 및 심폐소생술 술기 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하며 인증기간은 2년 입니다.
미국형과 한국형 전문심장소생술
AHA ACLS Provider(미국심장협회 전문심장소생술 제공자) 과정은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효과적인 기본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술기의 결합, 효과적인 팀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심정지 및 심혈관 응급 상황의 처치를 지도하거나 이에 참여하는 보건의료종사자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이 교육과정은 2일 코스이며, 술기 및 시뮬레이션 실습 평가를 모두 통과하고 필기시험 84점 이상을 획득하여야 하고 인증기간은 2년입니다. 인증 연장을 위한 갱신 과정(Renewal course)을 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KACPR KALS Provider(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전문소생술 제공자) 과정은 병원 혹은 구급차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응급처치에 필요한 지식을 이해하고 연관 술기를 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하는 1일(6시간) 코스로 대한심폐소생협회가 프로그램 개발하고 인증 및 질관리를 하는 전문소생술 교육입니다. 필기와 술기 평가의 정답률이 모두 84% 이상일 경우 합격자로 인정하며, 인증기간은 2년입니다.
'진단과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 나면 당황하지 말고 꽉 누르세요 (0) | 2022.07.28 |
---|---|
갑자기 한 쪽 팔다리에 힘이 없고 말이 어눌해요 (0) | 2022.07.28 |
다이빙하다 전신마비, 이게 무슨 일이야 (0) | 2022.07.21 |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0) | 2022.07.20 |
영아, 소아 기도폐쇄 응급처치 (0) | 2022.07.17 |
댓글